전체글143 [DB2] Stored Procedure 정리 DB2는 IBM의 RDBMS인데 별도의 설정으로 Oracle과 똑같은 PL/SQL을 사용할 수도 있다. 그러나, DB를 셋팅할 때 하지 않으면 DB2 문법으로된 것들을 Oracle 문법으로 마이그레이션해야되서 일이 귀찮아진다. 필자는 DB2를 셋팅할 때 이 설정을 하지 않았다. 그래서 Oracle에서 생성한 Procedure와 똑같은 Procedure를 DB2에 생성하려면 문법을 찾아보면서 생성해야한다.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Procedure를 만들면서 찾아보았던 내용들을 정리해 두려고 한다.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.. 2020. 1. 21. [Celery] 무장적 시장하기 (4) - Group과 Chord 2020/01/10 - [Back-end/Python] - [Celery] 무작정 시작하기 (1) - 설치 및 실행 2020/01/17 - [Back-end/Python] - [Celery] 무작정 시작하기 (2) - Task 2020/01/20 - [Back-end/Python] - [Celery] 무작정 시작하기 (3) - Chain 지난 포스트에서는 Chain을 이용하여 Taks를 순차적으로 실행시키는 방법을 알아보았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Task를 일괄적으로 실핼 할 수 있는 Group과 Chord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. 1. Group이란? 1-1. 말 그대로 하나의 집합을 만들어 실행시키는 작업으로 Task를 병렬로 실행할 수 있음. 1-2. Task를 그룹화 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음... 2020. 1. 20. [Celery] 무작정 시작하기 (3) - Chain 2020/01/10 - [Back-end/Python] - [Celery] 무작정 시작하기 (1) - 설치 및 실행 2020/01/17 - [Back-end/Python] - [Celery] 무작정 시작하기 (2) - Task 지난 포스트에서 apply_async(delay)로 Task를 단일 실행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다. 단일로 실행시켰을 경우 각 Task는 독립적이기 때문에 서로의 결과값을 참조할 수 없다. 하지만, 처음에 실행된 Task의 결과값을 다음 Task에서 사용해야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. 그래서,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Chai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. 지난 포스트에서 셋팅한 Celery App을 사용하므로 반드시 선행하길 바란다. 1. Ch.. 2020. 1. 20. [Docker] 무작정 시작하기 (2) - 명령어 2020/01/18 - [Back-end/Docker] - [Docker] 무작정 시작하기 (1) - 설치 및 실행 지난 포스트에서 Docker를 설치하고 RabbitMQ Container를 생성하여보았다. Docker는 간단한 명령어로 Container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지난 포스트에서 설치한 RabbitMQ Container를 이용하여 자주사용되는 명령어들을 알아보도록하겠다. 이 포스트는 지난 포스트에 작성한 rabbitmq Container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음. 1. Image 관련 명령어. 1-1. 검색. > docker search rabbitmq 1-2. 생성. > docker pull rabbitmq 1-3. 빌드. > docker build -t.. 2020. 1. 18. 이전 1 ··· 18 19 20 21 22 23 24 ··· 36 다음